페로브스카이트형의 장점 은 금속, 유기물, 할로겐족(불소, 염소, 브롬 등)이 결합되어 화합물결정구조를 형성한 물질로서 높은 광흡수성과 우수한 전하 이동능력을 기반으로 태양전지의 높은 광전변환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차세대 소재로 급격하게 부상하고 있다. 또한, 실리콘 등의 기존 무기태양전지에 비해 물질 원가가 매우 저렴하고 용액공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단기간 안에 상업화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리고 또한 납대신 구 리 (Cu) 등 다른 금속을 조합 함으로써 치밀하고 큰 결정크기 와 높은 전기전도도 를 가진 신규 소재를 개발했다 . 연구팀에 따르면 , 소재의 내구성 과 재현성 도 우수하다. Pb 가 Cu 로 치환된 페로브스카이트 소재 박막의 결정립 향상 사진 해당 그림은 PEDOT:PSS 와 용액분산 그래핀 (MFGO) 위에서 페로브스카이트 전구체의 결정화 거동에 대한 모식도이다 . 작은 이온들 간 이온결합으로 이뤄진 페로브스카이트 결정박막은 PEDOT:PSS 와 같은 특정 전하를 띄는 표면보다 용액분산 그래핀과 같은 화학적으로 안정한 표면에서 우수한 결정성을 갖는다는 것을 밝혀냈다 . (a ) 대면적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모듈 구조 모식도와 실제 사진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b) 플라스틱 기판 위에 구현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우수한 기계적 유연성을 확인 할 수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미래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Sn, Bi 및 Sb 등의 물질을 중심으로 연구되 고 있다. 현재 Pb 기반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보다는 효율이 낮게 보고되고 있지만, 향후 고효율의 새로운 소재 및 구조 개발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은 여러 조성을 통해 새로운 결정구조가 형성될 수 있으 며, 밴드갭을 자...